본문 바로가기

파이썬/사용법

[Python] 딕셔너리 값 조회 방법 3가지 – [], get(), setdefault() 비교 정리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파이썬의 딕셔너리(DICTIONARY)를 조회하는 방법 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1) 대괄호([])를 사용한 특정 키의 값 조회

2) dict.get(key,defaultvalue=None) 메소드를 사용한 값 조회

3) dict.setdefault(key,defaultvalue) 활용하여 값을 조회

 

순서로 알아보겠습니다.


 

 

1) 대괄호([])를 사용한 특정 키의 값 조회:

student_info = dict(홍길동=17,김개똥=18,정민수=19)

print(student_info) # {'홍길동': 17, '김개똥': 18, '정민수': 19}
print(student_info["홍길동"]) # 17
print(student_info["김개똥"]) # 17

dict[key]로 조회하면 value가 return 되는 모습입니다.

키로 조회 했을때 key가 없으면 keyError를  raise합니다.

 

 

 

2) dict.get(key,defaultvalue=None) 메소드를 사용한 값 조회:

student_info = dict(홍길동=17,김개똥=18,정민수=19)
print(student_info) # {'홍길동': 17, '김개똥': 18, '정민수': 19}


print(student_info.get('홍길동')) # 17
print(student_info.get('김나나',19)) # 19
print(student_info) # {'홍길동': 17, '김개똥': 18, '정민수': 19} 
# 상태 변경 X

dict.get(key) 로 조회를 하면 value가 return 되는 모습입니다.

키로 조회 했을때 key가 없으면 keyError를  raise합니다.

실제 키가 없어도 특정한 값을 리턴해야할 때 dict.get()를 사용할 수 있는데요

get으로 값을 설정해도 실제 dictionary에는 반영이 되지는 않습니다.

 

 

 

3) dict.setdefault(key,defaultvalue) 활용하여 값을 조회하는 방법

student_info = {'홍길동': 17, '김개똥': 18, '정민수': 19}
print(student_info) # {'홍길동': 17, '김개똥': 18, '정민수': 19}


## '김철수'라는 키가 없으므로 새로운 키 '김철수'가 생성되고 값은 20로 설정되어 이를 반환
print(student_info.setdefault('김철수',20)) # 20
print(student_info) # {'홍길동': 17, '김개똥': 18, '정민수': 19, '김철수': 20}
# 실제 dictionary에 반영됨

dict.setdefault(key) 로 조회를 하면 value가 return 되는 모습입니다.

키로 조회 했을때 key가 없으면 keyError를  raise합니다.

실제 키가 없어도 특정한 값을 리턴해야할 때 dict.setdefault()를 사용할 수 있는데요

setdefault으로 값을 설정하면실제 dictionary에 반영이 됩니다.

 

 


정리)

1) dict[]key로 조회

2) dict.get(key,default=None)로 조회

3) dict.setdefault(key,default=None)로 조회

 

get 사용 용도)

get은 keyerror를 발생시키지 않기위해서 사용한다실제 defaultvalue가 dctionary에 반영되는것을 원하지 않을 때 사용한다.

 

setdefault 사용 용도)

setdefault는 keyerror를 발생시키지 않기위해서 사용한다

실제 defaultvalue가 dctionary에 반영되는것을 원할 때 사용한다.

 

마치면서)

파이썬 공식 문서에서 딕셔너리와 예제를 찾아보시면 더욱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도 유용한 파이썬 팁과 기능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