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파이썬의 딕셔너리(DICTIONARY)를 조회하는 방법 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1) 대괄호([])를 사용한 특정 키의 값 조회
2) dict.get(key,defaultvalue=None) 메소드를 사용한 값 조회
3) dict.setdefault(key,defaultvalue) 활용하여 값을 조회
순서로 알아보겠습니다.
1) 대괄호([])를 사용한 특정 키의 값 조회:
student_info = dict(홍길동=17,김개똥=18,정민수=19)
print(student_info) # {'홍길동': 17, '김개똥': 18, '정민수': 19}
print(student_info["홍길동"]) # 17
print(student_info["김개똥"]) # 17
dict[key]로 조회하면 value가 return 되는 모습입니다.
키로 조회 했을때 key가 없으면 keyError를 raise합니다.
2) dict.get(key,defaultvalue=None) 메소드를 사용한 값 조회:
student_info = dict(홍길동=17,김개똥=18,정민수=19)
print(student_info) # {'홍길동': 17, '김개똥': 18, '정민수': 19}
print(student_info.get('홍길동')) # 17
print(student_info.get('김나나',19)) # 19
print(student_info) # {'홍길동': 17, '김개똥': 18, '정민수': 19}
# 상태 변경 X
dict.get(key) 로 조회를 하면 value가 return 되는 모습입니다.
키로 조회 했을때 key가 없으면 keyError를 raise합니다.
실제 키가 없어도 특정한 값을 리턴해야할 때 dict.get()를 사용할 수 있는데요
get으로 값을 설정해도 실제 dictionary에는 반영이 되지는 않습니다.
3) dict.setdefault(key,defaultvalue) 활용하여 값을 조회하는 방법
student_info = {'홍길동': 17, '김개똥': 18, '정민수': 19}
print(student_info) # {'홍길동': 17, '김개똥': 18, '정민수': 19}
## '김철수'라는 키가 없으므로 새로운 키 '김철수'가 생성되고 값은 20로 설정되어 이를 반환
print(student_info.setdefault('김철수',20)) # 20
print(student_info) # {'홍길동': 17, '김개똥': 18, '정민수': 19, '김철수': 20}
# 실제 dictionary에 반영됨
dict.setdefault(key) 로 조회를 하면 value가 return 되는 모습입니다.
키로 조회 했을때 key가 없으면 keyError를 raise합니다.
실제 키가 없어도 특정한 값을 리턴해야할 때 dict.setdefault()를 사용할 수 있는데요
setdefault으로 값을 설정하면실제 dictionary에 반영이 됩니다.
정리)
1) dict[]key로 조회
2) dict.get(key,default=None)로 조회
3) dict.setdefault(key,default=None)로 조회
get 사용 용도)
get은 keyerror를 발생시키지 않기위해서 사용한다실제 defaultvalue가 dctionary에 반영되는것을 원하지 않을 때 사용한다.
setdefault 사용 용도)
setdefault는 keyerror를 발생시키지 않기위해서 사용한다
실제 defaultvalue가 dctionary에 반영되는것을 원할 때 사용한다.
마치면서)
파이썬 공식 문서에서 딕셔너리와 예제를 찾아보시면 더욱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도 유용한 파이썬 팁과 기능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파이썬 > 사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파이썬 자료형 딕셔너리 요소를 삭제하는 4가지 방법 (0) | 2025.07.28 |
---|---|
[python] 파이썬 딕셔너리 생성(초기화) (1) | 2025.07.28 |
[python] 파이썬 딕셔너리(Dictionary) 완전 정복 - 선언부터 반복문 활용 (1) | 2025.07.24 |
[python] 집합(set) 완전 정복 - 선언부터 집합 연산까지 (1) | 2025.07.24 |
[python] 튜플(Tuple) 완전 정복: 선언부터 언패킹까지 핵심 개념 정리 (1) | 2025.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