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파이썬의 리스트 메서드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파이썬은 여러 가지 리스트 메서드를 제공합니다.
추가, 삽입,삭제, 위치 찾기, 개수 찾기, 정렬, 뒤집기, 키워드에 따라 메서드를 정리한 내용을
다룰 예정입니다.
1) 추가
append(element)
리스트의 끝에 새로운 요소를 추가합니다.
mylist[len(mylist):] = [new_item]과 같습니다.
>>> mylist = [0,1,2,3,4,5,6,7,8,9]
>>> mylist.append(10)
>>> mylist
[0, 1, 2, 3, 4, 5, 6, 7, 8, 9, 10]
1) 추가
extend(iterable)
리스트에 다른 이터러블(iterable) 객체의 요소들을 추가합니다.
mylist[len(mylist):] = iterable.과 같습니다.
>>> addlist = [11,12,13]
>>> mylist.extend(addlist)
>>> mylist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append와 extend의 차이
>>> mylist = [0,1,2,3,4,5]
>>> addlist = [6,7,8]
>>> mylist.append(addlist)
>>> mylist
[0, 1, 2, 3, 4, 5, [6, 7, 8]]
>>> mylist = [0,1,2,3,4,5]
>>> addlist = [6,7,8]
>>> mylist.extend(addlist)
>>> mylist
[0, 1, 2, 3, 4, 5, 6, 7, 8]
둘다 리스트의 제일 뒤에 요소를 추가한다는 점은 같지만 append 는 그대로 추가하고
extend는 한번 풀어서 추가해줍니다.
>>> mylist = [0,1,2,3,4,5]
>>> addlist = [[6,7,8]]
>>> mylist.extend(addlist)
>>> mylist
[0, 1, 2, 3, 4, 5, [6, 7, 8]]
2) 삽입
insert(index, element)
리스트의 특정 인덱스 위치에 요소를 삽입합니다.
argument는 삽입하고 싶은 위치와 값을 넣어주면 됩니다.
a.insert(len(a),x) 는 a.append(x)와 같습니다.
>>> mylist = [1,2,4,5]
>>> mylist.insert(2,3)
>>> mylist
[1, 2, 3, 4, 5]
>>> mylist.insert(0,0)
>>> mylist
[0, 1, 2, 3, 4, 5]
3) 제거
remove(element)
리스트에서 첫 번째로 해당 요소를 삭제합니다.
지우고싶은 값이 없으면 ValueError 를 발생시킵니다.
>>> mylist.remove(1)
>>> mylist
[0, 2, 3, 4, 5]
>>> mylist.remove(1)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stdin>", line 1, in <module>
ValueError: list.remove(x): x not in list
>>>
3) 제거
pop(index)
리스트에서 주어진 인덱스에 해당하는 요소를 삭제하고 반환합니다. 인덱스를 지정하지 않으면 마지막 요소를 삭제합니다.
>>> mylist
[0, 2, 3, 4, 5]
>>> mylist.pop()
5
>>> mylist
[0, 2, 3, 4]
>>> mylist.pop(3)
4
>>> mylist
[0, 2, 3]
3) 제거
clear()
리스트의 모든 요소를 삭제합니다.
>>> mylist = [9, 8, 7, 6, 5, 4, 3, 2, 1, 0]
>>> mylist.clear()
>>> mylist
[]
4) 위치 찾기
index(element)
리스트에서 주어진 요소의 인덱스를 반환합니다.
첫 번째로 일치하는 인덱스만 반환합니다.
>>> mylist
[0, 2, 3]
>>> mylist.index(2)
1
>>> mylist.index(3)
2
>>> mylist.index(0)
0
5) 개수 찾기
count(element)
리스트에서 주어진 요소의 개수를 반환합니다.
>>> mylist = [0,0,0,0,0,1,1,1,1,1,2,2,2,2]
>>> mylist.count(0)
5
6) 정렬
sort()
리스트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합니다.
>>> mylist = [9,5,6,4,3,7,8,1,2,0]
>>> mylist.sort()
>>> mylist
[0, 1, 2, 3, 4, 5, 6, 7, 8, 9]
7) 뒤집기
reverse()
리스트의 순서를 반대로 뒤집습니다.
>>> mylist
[0, 1, 2, 3, 4, 5, 6, 7, 8, 9]
>>> mylist.reverse()
>>> mylist
[9, 8, 7, 6, 5, 4, 3, 2, 1, 0]
>>>
정리)
리스트 메서드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종류는 추가, 삽입,삭제, 위치 찾기, 개수 찾기, 정렬, 뒤집기 등이 있습니다.
마치면서)
리스트 메서드를 적재적소에 활용하여 데이터 조작을 효율적으로 처리해보시길 바랍니다.
파이썬 공식 문서에서 더 많은 문자열 메서드와 예제를 찾아보시면 더욱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로써 파이썬 리스트 메서드에 대한 내용을 마치겠습니다.
다음 글에서도 유용한 파이썬 팁과 기능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파이썬 > 사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집합(set) 완전 정복 - 선언부터 집합 연산까지 (1) | 2025.07.24 |
---|---|
[python] 튜플(Tuple) 완전 정복: 선언부터 언패킹까지 핵심 개념 정리 (1) | 2025.07.23 |
[python] 리스트 생성 및 접근 (1) | 2025.07.22 |
[python] 리스트 정리 (생성부터 정렬까지 예제 중심 설명) (0) | 2025.07.22 |
[Python] 문자열 메서드 요약표 – 상황별로 정리한 핵심 사용법 (0) | 2025.07.22 |